충치치료
충치 진행 단계에 따른 적절한 치료로 치아 기능 회복
충치의 발견
충치의 치과용어는 치아우식증이라고 합니다.
치아 우식증은 치아의 일부분이 입안에 상주하고 있는 세균과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특히 단음식)과 반응하여 산(acid)을 형성하여 치아를 부식시켜 치아가 썩게 됩니다.
치아의 구조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식의 정도에 따라 치료가 다양해집니다. 법랑질은 치아 구조 중 가장 단단하므로 초기에 치아가 썩을 때는 작은 구멍이 생긴 후 법랑질 밑의 상아질에서는 급속히 확산됩니다.
치아 우식증이 계속 진행되어 신경에 근접될 때 아프게 느껴집니다.
step01법랑질만 삭음
법랑질의 치아우식증은 통증이 없습니다.
step02상아질까지 삭음
뜨겁고 찬 것을 먹을 때 통증을 느낍니다.
step03치수까지 퍼짐
자극없이도 통증을 느낍니다.
step04치조골과 잇몸까지 진행
치조골과 잇몸까지 퍼지고 이가 흔들립니다.
충치1도
충치2도
충치3도
충치4도
충치부위는 삭제 후에도 원래대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밀봉해 주는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이들 재료로는 아말감, 복합레진, 금, 도자기 등이 있습니다.
임플란트 시술로 잃어버린 치아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시술방법입니다.
충치나 치아의 단단한 부위가 떨어져 나간 자리를 구강 밖에서 금형태를 만들어서 그 자리에 붙여 넣는 것을 말합니다.
치아를 수복시키는 재료는 신체의 일부가 되는 것이기에 독성이 없어야 함은 물론 입안의 참, 음식물 등에 대해서도 부식이나 변색이 되지 말아야 하는데
금은 이러한 조건에 가장 적합하며 치아의 손상부위가 넓은 경우에는 교합력을 많이 받으므로 금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치예방의 기본은 바른 칫솔질과 적절한 음식조절에 있습니다.
칫솔질은 식사 전보다는 식사 후에 즉시 하도록 하며 올바른 방법으로 철저히 하여야 합니다. 음식조절로는 개러멜이나 엿과 같은 달고 끈끈한 식품은 삼가고 신선한 채소 과일 등으로 대신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당분은 사탕, 과자류, 청량음료뿐 아니라 케첩이나 마요네즈 등 예상치 못한 음식에도 많이 들어있습니다.